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처리 시설을 점검한 정부 시찰단이 31일 “주요 설비들이 설계대로 현장에 설치됐고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오염수 방출을 차단하는 장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요 설비의 성능에 대한 명확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고 일본 측이 제공한 자료에 전적으로 의존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온다.
시찰단은 이번 방문을 통해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핵심 주요 설비인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 측정확인용 설비(K4 탱크군), 방출(이송·희석·방출) 설비, 중앙감시제어실, 화학분석동(방사능분석실험실)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찰단은 알프스의 방사성 핵종 제거 성능과 장기간 안정적 운영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봤다고 밝혔다.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시찰 과정에서 도쿄전력에 오염수의 알프스 입·출구 농도를 담은 원자료를 요구해 확보했다”고 말했다.
시찰단은 연 1회 농도 분석이 이뤄지고 있는 64개 핵종에 대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운전된 설비의 데이터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알프스가 설치된 2013년부터 최근까지 8차례의 고장 사례와 관련한 자료도 확보했다. 유 위원장은 핵종 제거가 되지 않는 삼중수소 희석·방출 설비에 대해서는 “해수 이송펌프가 희석 목표를 만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으로 설계된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다만 시찰단은 설비들의 성능 적절성이나 장기운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분석과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료 없이 일 자료 의존” 지적
‘재정화’ 가능할지 걱정도 여전
시찰단의 이 같은 활동이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걱정을 덜어줄 해결책이 될지는 의문이라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시찰단이 가진 본질적 한계 때문이다. 방사능 위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오염수 시료 자체를 채취하지 못한 게 가장 큰 맹점이다. 아예 이번 시찰의 기본 임무에서 오염수를 떠오는 일은 빠져 있었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는 “제염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직접 시료를 채취해야 하지만 일본이 제공하는 자료에만 의존하고 있어 검증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방사능 오염수 재정화’가 현실적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걱정도 여전하다. 오염수 재정화는 알프스를 거쳐 나온 오염수가 기준치보다 높은 방사선을 뿜을 때 알프스에 다시 넣어 돌리는 일이다. 현재 일본 정부가 탱크에 넣어 저장 중인 오염수의 66%가 방사성 기준치를 넘는데, 약 90만t에 달한다. 이 중에는 방사성 기준치를 살짝 넘은 오염수부터 무려 1만9000배 이상인 오염수도 있다.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한 번 알프스를 돌렸을 때 오염물질의 10%를 걸렀는데, 두 번 돌렸다고 오염물질의 20%를 거르는 필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출처
경찰, 한동훈 개인정보 유출 의혹 최강욱 의원 압수수색 (0) | 2023.06.05 |
---|---|
윤 대통령 “복지 서비스도 시장화…경쟁 체제 도입해야” (0) | 2023.06.01 |
부한 우주발사체 발사, 서울시 경계경보 오발령...시민들 혼란 (0) | 2023.05.31 |
[유튜브영상] MBC 압수수색하러 온 경찰에 조목조목 항의하는 MBC구성원들 (0) | 2023.05.30 |
경찰, '한동훈 개인정보 유출' 혐의로 MBC '날리면' 기자 압수수색 (0) | 2023.05.30 |
댓글 영역